GAMFORMATION

반응형

컨트롤러는 단순히 보면 문제가 거의 없을 것처럼 보이지만, 의외로 하드웨어적인 이슈와 소프트웨어적인 이슈를 동시에 가지고 있다. 따라서 펌웨어 업데이트가 가능한 컨트롤러를 사용하고 있다면 가능한 펌웨어를 올려주는 게 좋은데, Xbox 또한 Xbox 360 이후에 나온 컨트롤러들은 업데이트를 지원하기에 이 방법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위부터 각각 Xbox 무선 컨트롤러 1세대 및 3세대

참고로, Xbox 360 이후에 나온 컨트롤러는 대체로 위와 비슷한 외관을 가지고 있기에 외관만으로 파악할 수 있다. 이미지 상 아래쪽 외관과 같다면 더 최근에 나온 컨트롤러를 사용하고 있다고 보면 되고, 위 두 가지 외관에 전부 해당되지 않는다면 펌웨어 업데이트는 불가능하다.(참고로, 위 두 가지 형태의 컨트롤러 이후에 나온 제품이라면 당연히 가능하다.)


컴퓨터(PC)를 이용한 Xbox 컨트롤러 펌웨어 업데이트

일반적으로 Xbox ONE이나 Xbox Series류 콘솔을 사용하고 있다면 자체적으로 업데이트 기능을 지원하기에 설정의 장치 메뉴로 이동해서 올려주면 그만이지만, 컴퓨터에선 자체적으로 제공하고 있지는 않아 다른 프로그램의 도움이 필요하다. 참고로, 글은 윈도우 10 환경에서 작성되기에 가능하다면 운영체제는 동일하게 맞추는 게 따라하기 좋을 수 있다.

 

윈도우 10 이상의 버전을 사용 중이라면 마이크로소프트 스토어를 통해 여러 프로그램을 간편하게 받을 수 있는데, 우선 위 링크를 눌러 Xbox 액세서리를 페이지로 이동해보자.

 

마이크로소프트 스토어(웹) - Xbox 액세서리

그럼 이미지와 같이 마이크로소프트 공홈을 통해 Xbox 액세서리 프로그램을 받을 수 있는 화면으로 넘어가는데, 여기서 받기를 눌러주게 되면 Microsoft Store를 열겠냐는 팝업창이 추가로 뜬다. 이어서 Microsoft Store 열기를 선택해주면,

 

마이크로소프트 스토어(프로그램) - Xbox 액세서리 

그렇게 마이크로소프트 스토어가 열리면서 Xbox 액세서리를 받을 수 있는 페이지까지 이동된다. 여기서 설치를 눌러주면 되는데, 혹시라도 설치를 눌렀을 때 마이크로소프트 계정으로 로그인하라는 창이 뜬다면 그건 무시해도 된다.

 

Xbox 액세서리 실행

설치가 제대로 완료되었다면 키보드의 Windows 키를 눌러보자. 그럼 시작 메뉴가 열리게 되는데, 시작 메뉴의 최상단을 보면 최근에 설치한 앱 목록에 Xbox 액세서리가 추가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실행해보자.

 

장치가 연결되지 않은 상태

그리고 이제 실행해주면 되는데, 컨트롤러 연결 없이 실행한 경우엔 위처럼 장치 연결이라는 문구만 보일 뿐 펌웨어 업데이트 등의 정보를 확인할 수는 없다. 추가로, 블루투스를 통한 업데이트는 지원하지 않기에, 혹시라도 블루투스로 연결된 상태라면 연결을 해제하고 USB를 이용해 연결하는 것을 권장한다.(Windows용 Xbox 무선 어댑터를 이용한 연결도 되긴 된다.)

 

업데이트 필요

그렇게 컨트롤러와 컴퓨터를 연결하고 나면 화면이 바뀌면서 구버전 펌웨어를 사용중일 시 업데이트 필요라는 문구가 컨트롤러 아이콘과 함께 뜨게 되는데, 여기서 업데이트 필요 버튼을 누르는 것으로 업데이트 과정을 진행해볼 수 있다.

 

시작 전 준비 사항

이어서 업데이트 필요 버튼을 누르게 되면, 위처럼 컨트롤러를 업데이트하려 한다는 정보가 표기된다. 여기서 혹시라도 무선으로 연결 중인 상태라면 방전으로 인해 업데이트 도중 연결이 끊길 수 있는데, 이런 가능성을 고려해 USB를 통한 연결을 권장한다.

 

제대로 연결하고 계속 버튼을 눌러주면 업데이트가 진행된다.

 

업데이트 중

이 화면까지 왔다면 진행도가 100%에 도달할 때까지 다른 건 하지말고 기다리자.

 

업데이트됨!

그대로 잠시 기다려보면 컨트롤러 위에 녹색 체크 표시가 뜨면서 업데이트됨! 이라는 문구와 함께 펌웨어 업데이트가 완료된다.

 

펌웨어 업데이트 이후부터 메뉴에 접근 가능

여기부터는 컨트롤러마다 제공하고 있는 기능들을 사용할 수 있는데, Xbox Series S, X와 함께 나온 컨트롤러는 배터리 조회도 되지 않는 터라 펌웨어 업데이트 말고는 이걸 주로 사용할 일은 없을 것으로 보인다.

공유하기

facebook twitter kakaoTalk kakaostory naver b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