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신 내부에는 기본적으로 스크린 샷을 사용하기 위해 등록된 단축키가 없다. 하지만 아예 방법이 없는 건 아니고, 좌상단 페이몬 아이콘을 통해 촬영 기능을 이용하면 스크린 샷을 찍을 수 있기는 한데, 여기선 나름대로 문제라고 생각할 수 있는 부분이 존재한다.
첫 번째는 촬영 이후 저장하는 경우, 이미지를 설치 목록/ScreenShot에 저장했습니다.라는 메시지와 함께 바로 저장되어버리는 것. 이걸 잘 보면 대충 어디에 저장된지는 알려주기에 아주 불친절한 것은 아니긴 하나, 컴퓨터에 대해서 잘 모르는 경우, 스크린 샷은 찍어두고 어디에 있는지 찾지를 못해 재사용에 문제가 생길 수 있다.
다음으로는 이미지가 저장되는 경로를 바꾸지 못한다는 점인데, 애초에 자기가 아는 경로에 저장되는 게 아니다 보니 위처럼 쉽게 찾지를 못하는 경우가 생기는데, 동시에 경로를 바꾸질 못하다 보니 결국은 스크린 샷이 저장되는 경로를 직접 찾아보는 수밖엔 없다.
따라서, 앞서 말한 설치 목록을 통해 스크린 샷 폴더를 직접 찾아줘야만 하는데, 설치 목록 자체는 윈도우10의 자체 기능을 이용해 쉽게 찾아들어가볼 수 있다. 윈도우10을 이용하는 경우, 원신을 OS 설치 후에 제대로 설치했다면 시작 메뉴에 아이콘이 있어 위처럼 검색할 수 있는데, 원신을 입력하고 검색된 아이콘을 우클릭해서 파일 위치 열기 기능을 사용해보자.
또는, 바탕화면에 있는 바로가기 아이콘을 쓰는 경우 또한 마찬가지로 파일 위치 열기가 가능하다.
만약 파일 위치 열기를 했는데, 새로 열리는 폴더 내의 파일이 원신과 제거원신 두 가지라면, 원신 아이콘을 우클릭하여 파일 위치 열기를 다시 사용해주면 설치 목록으로 진입할 수 있게 된다.
설치 목록으로 제대로 들어왔다면 launcher 아이콘이 자동으로 선택되어 있다.
여기서 마우스 휠을 이용해 위쪽으로 스크롤해보면 Genshin Impact game이라는 폴더가 하나 존재하는데, 이 폴더 내부로 들어가 보도록 하자.
그럼 마침내 ScreenShot 폴더가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내부로 들어가 보면 여태 촬영 기능을 이용해 찍은 스크린 샷들이 모두 모여있기에 이 이미지들을 이용해 내보내거나 해주면 된다. 참고로, 매번 이 경로로 진입하기엔 상당히 까다로운 면이 있으므로 아래와 같은 조치를 추가로 취해주는 것이 이후에 이 폴더에 접근할 때 편리해질 수 있다.
바로 ScreenShot 폴더를 드래그해서 왼쪽 즐겨찾기 바에 고정시켜버리는 것인데, 이 ScreenShot 폴더 말고도 자신이 자주 접근하는 폴더를 즐겨찾기 목록에 추가해두면 나중에 아무 폴더나 열었을 때 바로 접근이 가능하기에 한층 편리해진다.
앞서 소개한 첫 번째 방법의 경우, 폴더의 즐겨찾기에 등록해두는 것으로 폴더만으로 쉽게 들어갈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최근엔(2022년 8월), 원신 자체에서 스크린 샷 폴더에 들어가는 다른 방법을 제시했는데, 자세한 내용은 아래와 같다.(결론부터 말하자면, 개인적으로 첫 번째 방법이 더 편한 것 같기는 하나, 취향에 따라 갈리지 않을까 싶다.)
먼저, 원신 클라이언트를 실행해보자. 위 화면에서 게임 실행을 누르는 게 아닌, 딱 실행기까지만 열면 된다.
그럼 우측 상단부에 가위 모양(?)과 비슷한 모양이 있는 것을 볼 수 있는데, 이걸 눌러주면,
이렇게 원신의 스크린 샷 폴더로 들어갈 수 있다. 이 방법의 단점은 원신 실행기를 열고, 버튼을 눌러줘야 한다는 점이라 실행기를 켜는 게 필연적이라는 단점이 있다. 반대로, 장점이라면 첫 번째 방법에서 가장 처음에 거쳐야 하는 설정이 없다는 점이 되지 않을까 싶다.
두 방법을 전부 살펴보고, 본인이 생각하기에 더 편한 방법을 이용해서 스크린 샷 경로로 들어가 보도록 하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