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AMFORMATION

반응형

KT 인터넷 이용 시 핑이 튀는 현상

개인적으로는 2021년 8월 말쯤부터 겪기 시작했는데, 현재(2021년 9월) KT 인터넷을 이용하는 경우 핑이 150 이상으로 튀면서 화면이 멈추고 로딩이 돈다거나, 또는 미지의 오류가 발생했습니다. 에러코드: -1-4308 등과 같이 문제를 일으키는 경우가 있다. 이는 KT 자체의 문제라 다른 게임들에서도 겪을 수 있는데, 나름 해결책을 발견한 것 같아 이 문제를 일시적으로라도 해결하는 방법에 대해 작성해보고자 한다.

 

참고로, 이 방법은 트위치TV 이용 시 720p 화질 제한을 푸는데도 사용되며, 아래에서 설명할 1.1.1.1은 VPN은 아니다.

 

KT 인터넷 이용 시, 팅기거나 핑이 튀는 문제를 해결하려면?

시작에 앞서, 이 방법은 원신을 켜둔 상태더라도 적용하는 데 문제는 없기에 현재 켜져 있는 원신을 굳이 다시 끄거나 할 필요는 없다.

 

추가로, 이 글은 Cloudflare WARP 프로그램을 이용한다. 따라서 이 프로그램이 어떤 역할을 하는지가 궁금하다면 위 링크를 통해 파악해보는 것도 좋다. 요약하자면, 1.1.1.1은 VPN이 아니고, DNS 쿼리가 감청되는 것을 막아주는 역할을 해준다고 한다.

 

먼저 위 링크를 통해 1.1.1.1에 접속해보자. 링크가 의심된다면 직접 주소창에 1.1.1.1을 입력하고 엔터를 쳐도 무방하다.

 

Cloudflare WARP

그럼 위와 같이 운영체제별로 Cloudflare WARP 프로그램을 받을 수 있다. 필자는 원신을 주로 윈도우에서 구동하기에 중간에 있는 윈도우 버전을 받았다. 

 

Cloudflare WARP 설치 시작

그리고 설치를 진행해주면 되는데, 과정 중에 따로 체크하거나 해야할 것은 없어 그냥 Next 버튼 정도만 눌러가면서 진행해주면 설치 자체는 금방 완료된다. 여기서 사용된 이미지는 운영체제가 윈도우일 경우이므로, 다른 운영체제를 이용하는 경우라면 약간은 다르게 보일 수 있다.

 

Cloudflare WARP 설치 완료

설치 도중, 중간에 무슨 창이 뜨면 예도 눌러주고 하다 보면 금방 위 화면을 보게 되는데, 그럼 설치가 완료된 것이라 보면 된다.

 

연결 끊김

이어서 Cloudflare WARP의 설치가 완료되었다면 바로 위 창이 하나 뜰텐데, 처음에는 위처럼 연결 끊김으로 되어 있다.

 

(살짝만 글에서 벗어나서, 위 창을 어쩌다 닫아버렸는데 어떻게 열어야 할지 모르겠다면 위 순서대로 구름 모양의 아이콘을 눌러주면 다시 열어볼 수 있다.)

 

연결됨

그런데 여기서 해당 스위치를 켜서 위와 같이 켜주게 되면…

 

스샷으론 잘 보이지 않을 수 있지만, 이렇게 핑이 급격히 40ms대로 내려오면서 튕기거나 하는 문제가 사라지는 것을 체험할 수 있게 된다.

 

설정 - WARP 지원 1.1.1.1

만약, 프로그램 내부 스위치 위쪽에 위처럼 WARP 글자가 아닌, 이미지처럼 1.1.1.1이 쓰여져 있다면 설정 버튼을 통해 WARP 지원 1.1.1.1로 바꿀 수 있기에 바꿀 수 있다면 원신에서는 바꾸는 게 좋을 수 있다. 하지만, 롤(LOL, League of Legend)처럼 핑이 중요한 게임을 하는 경우라면 핑(지연 속도)이 올라갈 수 있으므로 WARP 지원 1.1.1.1까지 사용할 필요는 없다.

공유하기

facebook twitter kakaoTalk kakaostory naver band